청정 고산 식물의 보전과 활용: ‘약초 보호구역’의 필요성 제안
1. 고산 식물의 생태적 가치와 위기 상황강원도의 고산지대에는 해발 800미터 이상에서만 자생하는 희귀 약용식물이 다양하게 분포한다. 이러한 고산 식물은 낮은 기온, 강한 자외선, 큰 일교차 등 특수한 환경에 적응해 왔으며, 이 과정에서 독특한 생리적·화학적 성분을 발달시켰다. 대표적으로 눈개승마, 시호, 강활, 백선 등이 있으며, 이들 식물은 한방과 현대 의학에서 항산화, 항염, 면역 강화 기능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최근 무분별한 채취, 서식지 개발, 기후변화로 인한 서식지 축소로 개체 수가 빠르게 줄고 있다. 특히 고산지대의 생태계는 한 번 훼손되면 회복에 수십 년이 걸릴 수 있어, 서식지 보전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약초 보호구역’의 지정은 단순한 환경 보전을 넘어 장기적인..
2025. 8. 25.
산림청 보호종 ‘산형과 약초’의 생태와 산업화 과제
1. 산형과 약초의 분류와 생태적 특징산형과는 전 세계적으로 300여 속, 3천여 종이 분포하는 식물군으로, 우리나라 산과 들에서도 다양한 종이 발견된다. 그중 일부는 산림청이 보호종으로 지정하여 채취와 훼손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강원도의 고산지대와 청정 계곡 주변에는 참당귀, 시호, 강활, 방풍 등 약용 가치가 높은 산형과 식물이 자생한다. 이들 식물은 대부분 뿌리와 줄기, 잎, 씨앗에 유효 성분을 함유하며, 다년생 초본으로 매년 같은 자리에서 싹을 틔운다. 꽃은 작은 산형꽃차례를 이루어 피며, 벌과 나비 등 곤충의 주요 밀원식물 역할을 한다. 산형과 식물은 대체로 냉량하고 습윤한 환경을 선호하지만, 각 종마다 생육 조건이 조금씩 달라 특정 지역에서만 안정적으로 번식하는 경우가 많다.2. 강원도 자..
2025. 8. 23.